본문 바로가기

슬기로운 공대생활/전자회로

BJT - 소신호 특성

300x250

 

 

 

 

Small Signal Characteristics

교류신호 특성

 

$C_{obo}$ : Output Capacitance

- 공통 base의 출력 capacitance

- 마지막 알파벳 o는 output OPEN을 의미한다

- 반대로 만약 s가 들어갔다면? output Short를 의미 : 출력의 cap.을 잴려면 당연히 short시키면 안된다

 

$C_{ibo}$ : Input Capacitance

- 공통 base의 입력 capacitance

 

 $h_{fe}$ : 소신호 전류 Gain

- frequency가 1.0kHz일때 Gain은 50~200

- frequency가 100MHz일때 Gain은 2.5

- 주파수가 올라가면 gain은 매우 낮아진다. 왜냐면 기생커패시턴스와 캐리어 전달 지연으로 인해 고주파 신호가 왜곡되기 때문

기생 커패시터 (high frequency일 때)

BJT 소자의 특성 때문에, 교류 신호가 들어왔을 때 NPN 구조 사이에서 공핍층(depletion layer)가 형성되고, 이는 캐패시터로서 작동하게 되고 이를 고주파를 방해하는 기생 커패시터라고 한다.

 

$C_{BE}$ : 베이스와 이미터 PN 접합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 

$C_{BC}$ : 베이스와 컬렉터 PN 접합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

$C_{CE}$ : 컬렉터와 에미터 PN 접합 사이에서 발생하는 기생 커패시턴스

-일반적으로 매우 작으며, 다른 커패시턴스에 비해 영향이 적지만 무시할 수는 없다

(완전히 이해는 아직 못했음, 추가 예정)

출처

1. https://m.blog.naver.com/haran3056/222319437592#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00x250

'슬기로운 공대생활 > 전자회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Diode  (1) 2025.02.11
BJT - ON/OFF 특성  (0) 2025.01.22
BJT - 절대최대정격과 열 특성  (0) 2025.01.22
MOSFET  (0) 2025.01.22
BJT - 정특성(Static Characteristic)  (0) 2025.01.21